작년 3.3㎡당 분양가 2천만원 이하 86.6%… 직전 5년 比 6.5%p↓
"지역 내 미분양 물량‧브랜드‧주변 시세 등 꼼꼼히 따져 청약 나서야"

매일일보 = 권영현 기자 | 전국 미분양 가구가 7만5000가구를 넘는 등 청약시장 한파가 계속되는 가운데 분양가상한제 산정에 적용되는 기본형 건축비가 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분양가 상한제 주택에 적용되는 기본형 건축비를 정기 고시했다. 작년 9월 고시된 ㎡당 190만4000원에서 194만3000원으로 2.05% 올랐다.
기본형건축비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공동주택(공공‧민간택지 분상제 적용지역에 건설되는 주택)의 분양가 산정에 활용되는 항목 중 하나다. 공사비 증감요인을 고려해 6개월마다 정기적으로 고시한다.
이에 따라 분상제 적용 주택은 물론 전국 아파트 분양가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일반공급 청약 아파트 중 3.3㎡당 2000만원 이하 비중이 86.8%로 나타났다. 직전 5년(2017~2021년)간 평균 93.3%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6.5%p 낮아졌다.
부동산R114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고금리와 공사비 인상 등의 영향과 규제지역 해제에 따른 고분양가 관리지역 자동 해제 등에 따라 올해도 분양가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다”고 말했다.
분양가가 오르면서 청약자들의 옥석가리기도 한창이다. 청약자들은 입지조건과 분양가 등을 고려해 합리적인 분양가를 찾고 있다. 최근 청약시장에서는 가격 경쟁력을 갖춘 단지들은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6일 특별공급 청약을 진행한 영등포자이 디그니티는 69.87대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용 59㎡A 타입 생애최초 유형에는 3가구 모집에 1776건이 접수돼 592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인근 매물 호가보다도 저렴한 것이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었다”며 “분상제 적용을 받지 않는 단지임에도 조합이 분상제 수준의 가격을 유지한 것이 이런 결과를 이끌어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청약 시장에서 분양가와 브랜드 등 다양한 기준을 확인하라고 조언했다.
김인만부동산연구소 김인만 소장은 “지역 내 미분양 물량, 브랜드, 주변 시세, 경쟁률 등을 다양하게 따져보고 청약에 나서야 한다”며 “미분양 물량이 많은 지역은 가급적 피하고 대형 브랜드를 위주로 도전하는게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가격은 인근 시세와 비슷하거나 저렴한 단지가 메리트가 있다”며 “청약에 실패하더라도 경쟁률이 낮은 단지보다는 경쟁률이 높은 단지를 선별해 지속적으로 청약하는 것을 추천한다. 아무거나 사는 게 아닌 경쟁력 있는 물건을 사야 한다는 것이다”고 덧붙였다.
여 수석연구원은 “주변 아파트 시세 대비 분양가 경쟁력뿐만 아니라 단위면적당 분양가 수준이 얼마나 합리적으로 책정됐는지 여부도 꼼꼼하게 따져 가성비가 좋은 아파트에 청약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