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일보 김연지 기자] 합동참모본부(합참)는 26일 지난해 말 우리 영공을 침범한 북한 무인기에 대해 "과거 대비 성능은 향상된 것으로 추정되나 항적과 카메라 성능을 고려 시 용산 촬영은 제한됐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일석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장은 이날 오전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북한 무인기 사태 관련 현안 보고에서 이같이 말했다.
주 실장은 "북한 무인기의 특징을 분석해 보면 2014년 백령도 추락 무인기, 2017년 인제 추락 무인기에 비해 일부 성능이 향상된 것으로 추정되고, 과거와 같이 비행경로 사전 입력 방식과 상용 카메라를 장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무인기를 보내 영공을 침범한 의도에 대해서는 "아군 대응능력을 시험하는 한편 우리 사회에 혼란을 조성하고 아군의 사격에 의한 민간 피해 등이 발생하도록 하는 노림수도 내재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했다.
군의 북한 무인기 대응 작전과 관련해선 "작전 수행체계와 작전 간 조치, 전력 운용 등에서 일부 미흡한 사항을 확인했다"면서 "북한 소형 무인기가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왔을 때 우리 군의 각 기능실 및 인접부대 간 적극적인 상황 공유와 협조가 미흡했던 점이 이번 검열을 통해 확인됐다"고 했다.
한편 합참은 북한 소형 무인기에 대한 대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 연 2회 실시하던 합동방공훈련 횟수를 4회로 늘린다고 밝혔다.
합참은 지난달 26일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온 북한 소형 무인기처럼 2~3m급 무인기를 '가상 적기'로 운용하고, 다수 군단·작전사령부의 가용전력을 통합 운용하는 훈련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합참은 예하부대에서부터 합참·작전사까지 북한 소형 무인기 표적정보 공유체계를 숙달하는 훈련을 주 2~3차례 실시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