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일보 김명현 기자] “종신 혜택이 어딨습니까. 대학교에서도 종신교수가 없어졌는데요.”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최근 기아 노조 내에서 불거진 ‘평생 사원증’ 혜택 축소 논란을 두고 일침을 날렸다. 고령화 국면에 신차 평생할인 혜택은 엄청난 비용 부담을 가져오며, 시대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기아 노사는 지난 2일 단체협상안이 부결돼 재협상을 진행 중이다. 단협안 부결은 퇴직을 앞둔 고참 노조원들이 ‘평생 사원증’ 혜택 축소를 문제 삼았기 때문이다. 그간 기아는 25년 이상 근무한 뒤 퇴직한 직원들에게 ‘평생 사원증’ 혜택을 제공해왔다.
최초 잠정합의안에는 신차 할인 혜택과 관련해 평생 대신 75세로 연령을 제한하고, 할인율을 30%에서 25%로 낮추는 내용이 담겼다. 할인 횟수의 경우 2년 주기에서 3년 주기로 늘리기로 했다.
해당 합의안조차도 일반 소비자들이 보기에 엄청난 수준이란 평가다. 한 업계 관계자는 “퇴직 후에도 이런 복지 혜택이 있다는 것은 듣지도 보지도 못했다”면서 “노조 집행부도 사회적 분위기를 감안해 사측과 합의를 본 것인데 이를 거부한다는 건 집단이기주의의 전형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종신 복지 혜택은 일반 소비자들이 납득하기 힘든 부분으로 보인다. 종신(終身)의 뜻은 ‘목숨을 다하기까지의 동안’이라고 국어사전에 적시돼 있다. 과연 종신 혜택을 누리는 사람이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될까. 더욱이 75세를 넘어 ‘목숨이 다할 때까지’ 운전자를 위한 복지를 제공하는 기업이 얼마나 될까.
일부 노조원들의 주장대로라면 퇴직 후에도 신차를 평생 30% 할인받아 ‘차테크’를 2년마다 할 수 있는 환경을 원하는 셈이다. 퇴직 후 30년간 2년 주기로 차를 바꾼다고 가정하면 총 15대를 받는다는 계산이 나온다. 회사가 부담할 막대한 손실은 결국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가뜩이나 차 가격이 많이 올라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다. 반도체 등 원자재 수급 불안으로 신차 인도도 하세월이다. ‘평생 사원증’ 혜택 축소로 임단협이 부결된 데 소비자 시선이 고울 수 없다는 얘기다. 특히나 올해는 기본급을 제외하고도 2000만원이 넘는 금액의 ‘역대급’ 잠정합의를 도출했다. 일반 국민이 수긍하기 어려운 과욕은 내려놓길 바란다.

좌우명 : 내일 지구가 멸망할지라도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