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일보 김정인 기자] 미국 국무부가 윤석열 20대 대통령 당선인과 협력할 최우선 사안으로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위협을 꼽았다. 미국이 윤 당선인의 대선 승리 직후 북한이 정찰위성 개발을 가장해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화성-17형의 성능시험을 진행한 사실을 공개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11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윤 당선인에게 축하의 뜻을 전한 뒤 "한미 동맹은 양국 경제 유대, 국민 간 긴밀한 우정과 함께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 안보, 번영을 위한 핵심축(린치핀)"이라며 기후변화, 전염병 팬데믹, 공급망 교란, 안보 등 다양한 사안에서 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이어 "인도태평양에 관한 한 이 목록의 맨위에는 북한의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으로 인한 위협이 있다"며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했다.
이에 앞서 미국 측은 전날 '북한이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시험이라고 주장하며 지난 2월27일과 3월5일 발사한 탄도미사일을 정밀 분석한 결과 화성-17형 미사일의 최대사거리 시험 발사를 앞두고 관련 성능을 시험한 것으로 보인다'는 내용의 정보를 공개했다.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미 행정부 고위 당국자는 10일(현지시간) "신중한 분석 끝에 미국 정부는 북한의 올해 2월26일(한국시간 27일)과 3월4일(한국시간 3월5일) 두 번의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가 신형 ICBM 시스템을 수반했다고 결론을 내렸다"며 "미국은 이 정보를 공개적으로 드러내고 다른 동맹·파트너국가와 공유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내일 재무부가 금지된 무기 프로그램 향상을 가능케 할 외국 물품과 기술에 북한이 접근하지 못하게 할 새로운 행동을 발표할 것"이라며 "향후 며칠 내에 다양한 추가 조치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